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 아이디찾기 | 비밀번호찾기 | 장바구니 모바일모드
홈으로 와싸다닷컴 HIFI게시판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오디오 살림] 11. 오디오 기본 용어 정리
HIFI게시판 > 상세보기 | 2024-05-12 18:13:41
추천수 1
조회수   324

제목

[오디오 살림] 11. 오디오 기본 용어 정리

글쓴이

김일영 [가입일자 : 2003-09-26]
내용

오디오 살림도 연재 회차가 길어지니 매너리즘에 빠지는듯 합니다.



재미있게 써보려고 최대한 노력하지만 요즘에 이사 스트레스가 너무 심합니다.



이 스트레스에 대한 반발력으로 최대한 재미있게 읽으시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파주회원입니다.



 



이번에는 오디오 기본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해요.



왠만한 분들은 다 알고 계시겠지만 오디오 초보분들을 위해, 또 새로울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에 대해 파고들어보겠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윈도우에서 키보드의 '콘트롤키+F'를 누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 브리테니커 백과사전과 위키 백과사전, 나무위키를 인용한 부분이 많습니다.



 



오디오란?



라틴어의 '들을 수 있는' 또는 '듣는 감각의'라는 뜻의 'audire'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음악 등 소리를 효과적으로 듣기 위한 장치를 뜻합니다. 우리나라 오디오 역사는 1959년 금성사의 진공관 라디오인 'A-501'이 나오면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스테레오란?



스테레오포닉 사운드. 간단하게 스테레오라고 부릅니다. 2개의 스피커를 사용해 스피커의 대칭 구성을 통해 독립 음향 채널을 사용하는 입체 음향 방식을 말합니다. 상대되는 용어로는 '모노' 즉 한 개 채널에서 나오는 평면적인 사운드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Analog)란?



'비례하다'라는 뜻의 고전 그리스어에서 왔습니다. 신호와 자료를 연속적인 물리량 덩어리 - 예를들면  빛의 밝기, 소리의 높낮이나 크기, 굴러가는 공의 속력, 바람의 세기 등을 나타낸 것으로 디지털에 대비되어 쓰입니다. 흔히 컴퓨터화되지 않은 것 VCR이나 카세트 테이프, LP 같은 고전적인 기술이나 미디어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1. 소스기(source)



 



- LP 레코드 : 1948년 미국 컬럼비아사가 판매한 'long playing micro-groove record'의 약칭입니다. 합성수지 비닐라이트로 만들어 2.54cm당 224~300개의 음홈을 가진 30cm의 편면을 33 1/2회전으로 23분간 연주할 수 있는 레코드를 출시했습니다. 지금은 최장 50분 정도까지 된다고 합니다. 1958년에 스테레오 LP가 등장했습니다. 



 



- 턴테이블 : 소리를 재생할 때 LP를 돌리는 회전반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LP 플레이시키는 기기를 말합니다.



 



- 카트리지 : 턴테이블에서 신호를 읽을 수 있는 바늘 고정틀 - 헤드를 뜻합니다.



 



- 톤암 : 턴테이블에서 카트리지를 고정해 LP 신호를 읽을 수 있게 길게 이어진 암대를 말합니다.



 



- 카세트 테이프 : 음성 및 영상의 녹음과 재생을 위해 만들어진 자기 테이프를 뜻합니다. 



 



- 데크(deck) : 구조물의 일종을 뜻합니다. 기기를 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카세트 데크, 릴데크.



 



- CD : Compact Disk의 약어로 많은 양의 자료가 디지털의 형태로 저장되어있는 매체를 뜻합니다. 1979년 필립스와 소니가 공동 개발하여 1982년에 상용화했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손바닥 크기의 도넛 모양의 원판으로 74분, 650mb의 분량을 재생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후 DVD와 블루레이, 요즘은 4K블루레이로 발전했습니다.



 



- CD 트레이 : CD를 올려 고정시키고 회전하게 만드는 틀을 뜻합니다. 



 



- 튜너 : 오디오에서 튜너란 FM, AM 라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를 뜻합니다. 



 



- 블루투스 : 근거리에서 휴대전화 - 휴대용 단말기, 주변장치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기술 규격을 뜻합니다. '푸른 이빨'이라는 별명을 가진 바이킹 '해럴드 블루투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해럴드 블루투스는 치아가 좋지않아 검푸른 색이었다고 하는데요. 고생이란 고생은 다했겠네요. 1994년 스웨덴 에릭슨 사에서 시작되었고 1998년 5월,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으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가 발족되었습니다. 



 



2. 케이블 



 



아날로그 케이블 



 



- RCA : 언밸런스 케이블로도 불리고는 합니다.  에디슨이 창립한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일부로있는... 미국에 있는 주요 전기, 방송 복합기업인 RCA사가 1940년대 가정용 축음기 내부에 연결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자입니다. RCA는 'Radio Corporation of America'의 약어입니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포노, 영상 컴포넌트, 디지털 동축 그리고 일반적인 오디오 음성 신호 단자로 사용됩니다. 



 



- XLR : 3핀 XLR 단자가 일반적인 형태로 벨런스드 오디오 신호의 표준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마이크가 채택하고 있는 단자이며 오디오 신호 전송에도 노이즈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고급 제품에 사용됩니다.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캐논 플러그, 캐논 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핀 하나는 접지 및 차폐 역할을 하고 다른 핀 하나는 양극, 마지막 핀 하나는 음극 신호를 전달합니다. 



 



- 6.5 헤드폰 단자, 4.4 벨런스드 헤드폰-이어폰 단자, 3.5 이어폰 단자 : 헤드폰과 이어폰에 사용되는 단자로 앰프나 미니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앞의 숫자는 직경을 나타내는 '파이'로 구분됩니다.



 



디지털 케이블 



 



- USB 케이블 : 컴퓨터에서 오디오 기기를 연결할 때는 보통 USB-B타입 케이블로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2.0 단자가 있고 요즘 출시된 3.0 단자가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휴대용 기기들은 USB-C타입으로 연결됩니다. 



 



- 광케이블 : 데이터 전송을 위해 광섬유로 만든 케이블을 뜻합니다. 구리 통신 케이블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장거리 고속 통신이 가능합니다. 오디오에서는 사각 형태의 옵티컬 케이블과(Toslink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RCA형태의 동축 케이블이 있고 노이즈 저항력이 강한 XLR 단자를 사용한 AES/EBU 케이블이 있습니다.  



 



 



파워케이블 : 전기 전력을 기기에 공급하는 케이블로 나라마다 100~110V, 220~230V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일본이 110V를 사용하고 우리나라와 유럽, 중국이 220V사용하지만 Hz가 달라 사용시 확인해야합니다. 다양한 형태의 콘센트가 있으며 110V로 사용해줄 수 있는 강압 트랜스를 이용해 다른나라의 기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피커 케이블 : 앰프의 스피커 출력 부분에서 스피커로 신호 전달하는 케이블로 연결 형태에 따라 나사식으로 조여서 고정하기도 하고 클립식으로 눌러서 고정하기도 합니다. 단자는 말굽 형태 그리고 바나나 단자라고 불리는 끼워넣는 형태가 있습니다. 



 



3. 신호 처리 기기 



 



- DAC : 디지털 투 아날로그 컨버터의 약어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바꾸어 RCA나 XLR 케이블로 전송하는 기기를 뜻합니다. 



 



- ADC : 아날로그 투 디지털 컨버터의 약어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꾸어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기기를 뜻합니다. 



 



- DDC : 디지털 투 디지털 컨버터의 약어로 보통 USB 신호를 디지털 동축, toslink, AES/EBU로 바꾸어 전송합니다.



 



- 셀렉터 : 음성, 영상 신호 또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신호 또는 스피커 출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기기를 뜻합니다. 예를들어 앰프 2대에 스피커 하나를 연결해 셀렉터로 신호의 경로를 바꾸어가며 선택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도 마찬가지 경로를 선택해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입 출력의 반대도 가능합니다. 쉽게 입력과 출력의 경로를 바꾸어 연결해주는 기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승압트랜스 : 턴테이블에서 저출력 MC 바늘을 사용할 때 고출력 MM 신호로 바꿔주는 기기를 뜻합니다.



 



4. 앰프 :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자장치를 뜻합니다.



 



- 프리앰프 : 오디오 신호만을 처리하는 앰프를 뜻합니다. 



 



- 파워앰프 : 스피커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앰프를 뜻합니다. 



 



- 인티앰프 : 프리앰프 + 파워앰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앰프를 뜻합니다. 



 



- 리시버 : FM, AM 라디오와 인티앰프가 결합된 기기를 뜻합니다. 



 



- AV 리시버 : 일반적인 리시버에 더해서 영상 감상을 위한 다채널 출력이 가능한 앰프를 뜻합니다. 



 



- 모노 앰프 : 스피커 하나에 대한 출력만을 담당하는 앰프를 뜻합니다. 보통 파워앰프가 스피커 하나, 하나 담당해 스테레오로 출력하고는 합니다. 2대의 스테레오 스피커라면 모노 앰프 2대가 필요하겠죠. 옛날에는 스피커 하나만을 사용해서 스피커 출력 하나만 가능한 오래된 앰프도 있습니다.



 



- 포노 앰프 :  턴테이블에서 저출력 MC 바늘과 고출력 MM 바늘의 신호를 일반 오디오 신호로 바꿔주는 기기를 뜻합니다. RCA나 XLR로 연결되며 일반 오디오 앰프로 연결됩니다. 앰프에 따라 포노앰프를 내장한 기기가 있습니다.



 



- 진공관 앰프 : 유리나 금속 용기 안을 진공으로 하여 전극을 넣고 막은 관 - 진공관을 사용하는 앰프를 뜻합니다. 앰프에서 진폭이나 신호 세기를 크게하기위해 진공관을 사용하는 앰프입니다. 1960년대 트랜지스터 앰프가 등장하면서 수요가 줄었지만 하이파이 오디오 동호인이나 기타 연주자들에게는 애용되고 있습니다. 



 



- 볼륨 : 앰프에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를 뜻합니다.



 



5. 스피커 



 



- 풀레인지 스피커 : 스피커 신호 처리 회로인 네트워크없이 동축 스피커 유닛에 바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뜻합니다. 



 



- 액티브 스피커 : 앰프가 내장된 스피커를 뜻합니다. 



 



- 정전형 스피커 : 스피커의 그릴 같은 얇은 막 전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스피커입니다. 



 



- 북셀프 스피커(bookshelf)  : '스탠드 마운트 스피커'로도 불리며 서재 선반에 올려놓을 정도로 작은 스피커를 뜻합니다. 선반이 없다면 청음하는 위치, 귀 높이 정도의 스탠드가 필수로 있어야합니다. 



 



- 톨보이 스피커 : '플로어 스탠딩 스피커'로도 불리며 청음하는 사람 귀 높이 정도로 높고 크게 만들어진 스피커를 뜻합니다. 



 



지금까지 오디오 용어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정도만 알아도 오디오 구입하고 즐기시기에 불편하지 않을 꺼예요.



다른 연재물과 다르게 생각이 아닌 사실을 적느라 타이핑 노동같은 느낌이 약간 듭니다.



 



이사로 인한 스트레스가 극심합니다. 



한 10년은 늙어버리는 듯 합니다. 



시간이 해결해주겠죠.



좋은 방향으로 해결되면 좋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다음 오디오 살림은 '오렌지 불빛'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추천스크랩소스보기 목록
김승수 2024-05-12 23:48:57
답글

항상 오디오에 소박하고 진솔하게 다가가는 음악에 찐심을 가진 분이라는 생각이^^;;

221.155.***.118 2024-05-13 08:16:54

    어르신 안녕하시죠?

김일영 2024-05-13 08:21:01

    제 이름대신 왠 숫자가 나오네요. 자유게시판에서 어르신 글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만평 모음은 빼놓지 않고 봅니다. ^^

  • 광고문의 결제관련문의